황사에 대한 특보 기준과 상식을 미리 알아두어 우리 주변에 발생될 수 있는 피해에 대비하도록 합니다.
황사 정보
황사발생 가능성 및 황사에 대한 동태를 1일 4회 기상통보문을 통해 발표하며 황사 이동 경로, 유입 시점 및 황사 강도를 예측을 홈페이지 및 긴급방송으로 배포
황사 경보
황사로 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가 800㎍/㎥ 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1. 황사 발생지
-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주요 발원지는 고비사막·내몽골고원, 중국 북동 사막지역, 황토고원 등입니다. 이 중 서로 인접하는 고비사막·내몽골고원에서 발원하여 직접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경우가 50%이며, 고비사막·내몽골고원에서 발원하기는 하지만 중국 북동 사막지역을 거쳐 이동하는 경우가 14%, 황토고원을 거쳐 이동하는 경우가 17%를 차지합니다. 즉, 고비사막·내몽골고원에서 발원하는 경우가 전체의 81%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중국 북동 사막지대 및 황토고원에서 직접 발원하여 유입되는 경우가 각각 18%, 1% 정도입니다.
2. 황사의 성분 및 영향
황사는 토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주요 이온성분은 칼륨, 철분,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토양성분입니다. 최근 미세입자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크게 부각되고 있지만 오염물질과 섞이지 않은 순수한 황사의 경우 알칼리성을 띠고 있어서 황사가 가라앉은 지역의 경우, 토양의 산성화를 예방하는 긍정적 효과도 있습니다.
부정적 영향 - 농작물, 활엽수의 숨쉬는 구멍을 막아 생육에 장애를 일으킴
- 눈 질환 유발 및 호흡기관으로 깊숙이 침투함
- 빨래, 음식물 등에 침강ㆍ부착
- 항공기 엔진 손상 및 이ㆍ착륙시 시정악화로 인한 사고 발생 가능성
- 반도체 등 정밀기계 손상 가능성
- 태양 빛을 차단, 산란시킴(시정 악화)
- 지구대기의 열 수지에 영향을 미침(복사열 흡수로 냉각효과)
- 구름 생성을 위한 응결핵 증가
긍정적 영향 - 주로 알카리성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산성비 중화작용
- 산과 호수에 알칼리성분을 공급하여 토양과 호수의 산성화 방지
- 서해 등에 풍부한 미네랄 공급 및 정화 작용
- 해양 플랑크톤에 무기염류 제공(생물학적 생산력 증대)
- 토양 속 미생물에 의한 무기염 흡수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