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해수면상승 사전대비

    • 조수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는 달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백중사리(음력 7월 15일 전후), 대조기(매월 음력 2~4일)에는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가 발생할 수 있어 평상시 위험지역, 대피요령 등을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숙지합니다.
    • 그믐ㆍ보름으로부터 2~4일간을 대조기라고 하며, 조류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흐르는 기간입니다. 바닷물은 달ㆍ태양의 인력 외에도 지형, 해저 마찰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 그믐ㆍ보름 1~3일 후에 대조기가 발생됩니다.
      1. 1. 과거에 발생했던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미리 확인하고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공유합니다.
      2. -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저지대 침수 위험지역을 사전에 확인합니다.
      3. - 조수(潮水)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백중사리, 대조기 시기를 사전에 확인합니다.
      4. 2. 재난에 대한 위험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합니다.
      5. - 조수(潮水)재난이 발생 시 재난 예·경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TV, 라디오 등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 등을 미리 설치합니다.
      6. 3. 가족과 사전에 비상에 대비해서 각자 무엇을 어떻게 언제 할 것인지 약속을 정합니다.
      7. - 비상시를 대비하여 지역 대피장소(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나 지자체 홈페이지의 임시대피소, 이재민임시주거시설 등 참고)와 안전한 이동 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 주어야 합니다.
      8. -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사전에 정합니다.
      9. 4. 비상시 가족과 함께 안전한 이동방법, 대피요령 등을 숙지해 둡니다.
      10. -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과 즉시 연락해서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황이 급박할 경우에는 즉시 그 자리를 피하고 가족과는 따로 연락해서 자신의 이동경로를 알려주도록 합니다.
      11. - 침수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미리 높은 곳에 물건을 옮겨서 2차 피해를 방지하도록 합니다.
      12. 5.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사전에 준비합니다.
      13.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사전에 한 곳에 구비해 두고 응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바로 휴대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14.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둡니다.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약속해 둡니다.
      15. 6.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가족들과 함께 합니다.
      16. -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여 배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합니다.
      17.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대피장소, 대피경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