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전기 안전

      1. 코드를 플러그를 잡고 뽑는 그림
      2. 전기코드는 반드시 플러그를 잡고 뽑아야 합니다.
      3. (피복 내 구리선이 끊어져 화재와 감전사고 위험)

      4. 문어발식 배선이 금지되어 있는 그림
      5. 문어발식 배선은 피해야합니다.
      6. (전선마다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음)

      7. 전선이 손상되어 있는 그림
      8. 전선이 손상된 경우 감점 또는 합선의 원인이 되므로 교체합니다.

      9. 젖은 손으로 플러그나 스위치를 잡는 그림
      10. 젖은 손으로 플러그나 스위치를 잡으면 안 됩니다.

      11. 콘센트 덮개가 있는 그림
      12. 유아나 어린이들의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 덮개 있는 콘센트를 사용합니다.

      13. '위험', '고압'등이 쓰인 장소가 금지되어 있는 그림
      14. '위험', '고압'등이 쓰인 장소에는 절대로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15. 전봇대를 오르거나 전선을 막대로 찌르는 것을 금지하는 그림
      16. 전봇대를 오르거나 전선을 긴 막대기 등으로 찌르는 장난을 하지 않습니다.

      17. 땅에 떨어진 전선으로 걸어가는것을 금지하는 그림
      18. 땅에 떨어진 전선 가까이는 가지 않습니다.
      19. (한국전력공사 123으로 신고)

      20. 누전 차단기를 사용하는 그림
      21. 누전차단기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해 꼭 사용하고 위급 시 바로 전기 차단을 합니다.

      1. 봄철
      2. 눈이 녹으면 배전설비부터 확인하세요.
      3. 건물 안팎이나 전선관으로 물기가 스며들지 않았는지, 언 땅이 내려앉은 자리에 배전설비 손상은 없는지 꼭 살펴보세요.
      4. 여름철
      5. 물 고인 신호등, 맨홀 뚜껑은 조심조심
      6. 빗물 고인 맨홀과 신호등은 전기가 흐를 수 있어요. 가능하면 멀리 떨어져 다니는 것이 안전하겠지요.
      7. 환절기
      8. 가습기는 콘센트에서 멀리멀리
      9. 콘센트나 전기기기는 습도가 올라가면 누전이나 합선사고가 생길 수 있어요.
      10. 될수록 가습기와 멀리 두고 사용하세요.
      11. 겨울철
      12. 가연성 물질은 저 멀리
      13. 전기장판과 난로 옆에는 종이, 담요 등 가연성 물질을 치워주세요. 화재를 막는 중요한 예방법 입니다.
      14. 간절기
      15. 전기장판은 반드시 돌돌 말아서 보관
      16. 전선이 무거운 물건에 오래 눌려있으면 끊어질 우려가 있으니 전기장판은 접어서 쌓아두지 말고 둥글게 말아 세워서 보관하세요.
      1. 사무실
      2. 승인받은 제품 사용
      3. KS, KC 등 인증마크가 있는 제품은 정부가 안전성을 인증한 제품입니다.
      4. 전기용품 구매 시 꼭 승인마크를 확인해 주세요.
      5. 피서지
      6. 아무데서나 전선 끌어쓰면 큰 일
      7. 인파가 몰리는 피서지, 음식점이나 상점에서 끌어온 간이전선은 감전이나 누전사고 위험이 크니 전기 이용에 주의하세요.
      8. 전통시장
      9. 외부에 노출된 입간판 주의
      10. 야생동물이나 행인에 의해 전선이 훼손되어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세요.
      11. 영업종료 후,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아두는 습관도 중요합니다.
      12. 음식전
      13. 개별 또는 대형 환풍기 과열 주의
      14. 기름 찌꺼기 등으로 환풍기 내부가 오염되면 전기설비에 영향을 주어 위험하고 모터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15. 길거리
      16. 전깃줄은 만지지 마세요
      17. 길거리에 있는 전깃줄에는 높은 전압의 전기가 흐르고 있을 수 있어 위험합니다. 만지거나 장난치면 크게 다칠 수 있어요.
      1. 누전 차단기를 사용하는 그림
      2. 권장사용기간을 확인하고 AS 또는 먼지제거 서비스를 받아보세요.
      3. 가전제품 속 먼지만 제거해도 전기화재가 일어날 확률은 확 낮아집니다.
      1. 단락
      2. 단락은 손상된 전선의 피복으로 인해 서로 다른 도체가 맞닿아 발생해요. 전선이 무거운 물체에 깔리거나 날카로운 물질에 의해 손상 도지 않도록 해야하고 노후된 전선은 교체해주세요.
      3. 과부하
      4. 과부하는 허용 용량 이상의 전류가 전선에 흘려서 발생하게 됩니다. 과부하를 예방하기 위해선 콘센트에 플러그를 문어발식으로 접속하지 말아야 합니다.
      5. 접촉불량
      6. 접촉불량은 전선과 단자의 접속부위의 접속력이 불완전한 경우 발생합니다. 전기제품이 콘센트에 완전히 연결되었는지 수시로 확인해주세요.
      7. 트래킹
      8. 트래킹은 양 극간의 절연재료가 먼지, 습기 등의 영향에 의해 절연성을 잃고 도전화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기설비 또는 전기제품은 항상 건조하고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합니다.
      1. 긴급출동 고충처리(전기안전 119)
      2. 전기고장신고 접수 즉시 대기자가 출동하여 무료 응급처치
      3. 전기안전 콜센터 1588-7500
      4. 신청/접수 > 고객방문 > 점검 및 응급처치  > 전기안전 사용안내
      5. 대상
      6.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 1 ~ 3급 상이등급의 국가유공자 /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 / 5.18민주유공자와 그 유족 / 사회복지시설
      7. 응급조치 범위
      8.  전기시설 점검, 안전한 전기사용 안내
      9.  차단기 등 배선기구의 경미한 공사